Today : 2025년 05월 13일 (화요일) 로그인      회원가입
                  2008 군부대 전도집회              스트레스를 줄이는 간단한 방안들              성공인이 되려면 ‘자기발견’부터 하라              주일 성수의 기준은 무엇인가              대학가 이단들              한국교회 이단들              대학가 이단 로고들              추석 명절과 제사              호산나 찬양대 야유회 사진입니다              

  홈     청년회     학생회     선교구제     전도회     자료실     예배자료     신앙     생활정보     시,컬럼  

  기도하는 사람들
  갈등 하는 사람들
  웃고 싶은 사람들
  믿음 큰 사람들
  사랑 하는 사람들
  복음 전하는 사람들
  기뻐 하는 사람들
  행복 한 사람들
  건강한 사람들
  쉬고 싶은 사람들
  재미 있는 게임
  재미있는 플래쉬
  새 가족들 모습
  교회 오시는 길
  예배에 대한 이야기
  소비자 상담기관
  독서지도 사이트
  교우 웹사이트
  무료로 문자 보내기
  신앙 서적 자료



CCM 방송듣기

CCM Musicbox

counter

♡ 말씀 & QT ♡

생활정보

사전사이트


성경공부

성경연구

신학대,교회찾기



성찬식
2004-02-03 11:22:23   read : 5122

자기를 살피는 사람들 (고린도전서 11:27-29)

성찬식은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함께 하셨던 최후의 만찬에서 유래했습니다. 예수님께서 잡히시던날 밤 제자들과 함께 예루살렘에 있는 어느 다락방에서 저녁식사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날 저녁식사는 다른날 저녁식사와는 다른 것이었습니다. 마태복음 26:26을 보면 "떡을 떼어 주시며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몸이니라"고 하셨고, 27-28절을 보면 잔을 저희에게 나눠주시며 "이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사함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고 하셨습니다. 복음서와 고린도전서 11장에 나오는 성찬에 관한 기사가 주는 몇가지 교훈이 있습니다.
1. 성찬식은 주님의 고난과 죽으심을 생각하고 기념하는 것입니다.
"나를 기념하라. 이를 행하라"는 말씀의 뜻은 형식적 성찬식을 경계하는 것입니다. 떡을 들고 잔을 마실 때마다 나위해 십자가에 돌아가신 주님을 생각해야 합니다. 왜 우리가 성찬식을 거행합니까? 나 때문에 죽으셨고, 나는 주님 때문에 생명을 얻었고 영생을 얻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때를 따라 성찬상을 베풀고 떡과 잔으로 주님의 죽으심과 그 고통을 기념하는 것은 나 때문에 죽으셨고 나 때문에 고통을 당하셨기 때문입니다.

2. 그 곳엔 가룟 유다도 있었습니다.
마태복음 26:21을 보면 "너희 중에 한 사람이 나를 팔리라"고 했고, 23절을 보면 "나와 함께 그릇에 손을 넣는 그가 나를 팔리라"고 했고, 24절을 보면 "그 사람에게는 화가 있으리로다 그 사람은 차라리 나지 아니하였더면 제게 좋을 뻔하였느니라"고 했습니다.
그가 바로 가룟 유다 였습니다. 주님은 유다에게 여러차례 뉘우치고 돌아설 수 있는 기회를 주셨습니다. 그러나 그는 그 기회를 외면 했습니다. 교회 공동체 안에는 베드로도 있고, 요한도 있고, 유다도 있습니다. 베드로는 예수님 면전에서 예수를 모른다고 세 번씩이나 저주하며 부인했습니다. 철면피한 죄를 범한 것입니다. 가룟 유다는 예수를 팔아 넘길 흉계를 품은 채 시침을 떼고 만찬석에 앉아 있었습니다. 죄질로 따지면 별차이가 없습니다. 그러나 베드로는 회개했고, 유다는 회개하지 않았습니다. 베드로는 통곡했고, 유다는 슬금슬금 그 자리를 떠났습니다. 그 결과 베드로는 살았고, 유다는 죽었습니다. 베드로는 하나님이 종으로 쓰셨고, 유다는 버렸습니다. 누구라도 베드로나 유다처럼 잘못을 범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누구라도 베드로처럼 용서받을 수도 있고, 유다처럼 버림받을 수도 있습니다. 베드로가 되렵니까? 유다가 되렵니까?

3. 성찬식은 교제의 현장입니다.
그날 최후의 만찬은 이 세상에서 갖는 선생님과 제자간의 마지막 교제의 시간이 었습니다. 그날 그곳은 하나님과 인간, 스승과 제자, 구속자와 죄인, 사랑하는 분과 배신자가 함께 둘러 앉아 떡을 떼며 잔을 나누는 코이노니아의 현장이었습니다. 흔히 우리는 친한 사람끼리, 또래끼리, 동창이나 동향이나 동기끼리 모여 교제하기가 쉽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세계인 교회는 그럴 수가 없습니다. 예수님의 십자가는 모든 벽을 허물었습니다. 하나님과 인간사이의 벽을 허물었고, 사람과 사람사이의 벽을 허물어 버렸습니다. 교회는 특별한 조직이 위세를 떨치면 안됩니다. 모든 사람이 성찬상을 중심으로 떡을 나누고 잔을 나눠야 합니다. 날마다 주님의 성찬상에 둘러앉아 있는 자세로 살아야 합니다.

4. 자기를 살펴야 합니다.
27절을 보면 "주의 떡이나 잔을 합당치 않게 먹고 마시는 자는 주의 몸과 피를 범하는 죄가 있느니라"고 했습니다.
초대교회 교부였던 크리소스톰은 회개하지 않고 성찬을 먹는 것이 합당치 않게 먹고 마시는 것이라고 했고, 벵겔은 자기 성찰 없이 먹고 마시는 것이라고 했고, 앨포드는 "주의 죽으심에 대한 올바른 이해나 믿음없이 먹고 마시는 것이라"고 해석했습니다.
28절을 보면 "사람이 자기를 살피고 그 후에야 이 떡을 먹고 이 잔을 마실지니"라고 했습니다.
성찬식은 먹고 마시고 즐기는 만찬이나 회식이 아닙니다. 자기를 살피고 주를 생각하며 먹고 마시는 거룩한 예식인 것입니다. 배부르게 먹고 취하도록 마시는 것은 보통식사인 것입니다.
28절의 "자기를 살피고"라는 말씀은 "자기 죄를 회개하고, 자기를 다듬고" 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29절의 "주의 몸을 분변하라"는 말씀은 주님의 희생과 그 고통을 깊이 이해하라는 것입니다.
소크라테스는 "너 자신을 알라"고 했고, 바울은 "너 자신을 살피라"고 했습니다.
부지런히 남을 살피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다른 사람의 허물을 살피고, 눈치를 살피고, 약점을 살피지만 정작 자신은 살피지 않습니다.
그들에게 본문은 말씀합니다. "너 자신을 살피라"고.
5. 주님 오실 때까지 계속해야 합니다.
26절을 보면 "너희가 이 떡을 먹으며 이 잔을 마실 때마다 주의 죽으심을 오실 때까지 전하는 것이니라"고 했습니다. 주님이 재림하시면 성찬식이 끝납니다. 왜냐하면 어린양 예수와 함께하는 혼인잔치가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천국에서는 먹고 마실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주님 오시는 그날까지 성찬식을 계속하는 것입니다. 오실 때까지 우리는 주님을 생각해야 합니다. 주님의 십자가를 전해야 합니다. 주님 뵙는날까지 사랑하고 교제하고 섬겨야 합니다. 그리고 자기 자신을 살피고 주님의 구원을 증거해야 합니다.



독자 한마디
iooLHqOyaSdYMtWseoH
Doc pasmex@pasmex.com.pl
lcEuzEdLnusiTJE
ppwmyvmhe mmmuvp@wkmept.com

의견쓰기
이 름 E-mail
제 목



프린트하기 기사메일보내기 독자한마디


이전으로
믿음 큰 사람들
학생부에서 함께 섬길분을 찾습니다
교만과 겸손
행복을 향한 길
부모―자녀간 대화시간은 하루 고작 30분
교회에 다녀야 할 중요한 이유
셀목회로 부흥하는 교회
예수님의 제자
신앙생활의 표준
청소년 살리기 관련 자료 모음
제직 세미나
우상(偶像)
복 받은 사람들 (말라기 3:7-12)
성도의 재물관은...?
성찬식
복된 생활의 열쇠”(살전5:16-18)
 | Home | 사이트구조 | 내용검색 | 전체내용보기 | 내용올리기 |
  Contact Webmaster